Proof of Stake
한국어로 "지분증명" 이라고 부릅니다
단어 뜻 그대로 지분을 증명하면 됩니다
자 그러면 Pow방식이 멀쩡히 있는데 Pos가 왜 나왔을까요?
Pow방식은 뭐였죠?
내 전력량을 사용해 채굴을해서 코인을 보상받는 "작업증명" 방식이였죠?
여기서 발생하는 문제점이 속도가 너무 느리고, 전력량이 너무 많이 소모된다라는 단점때문에
바로 Pos가 등장했습니다
이해가 빠르게 되도록 밑에 사진을 보도록합시다.
여기 The Sun이라는 코인이 있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TheSun코인의 지분을 가지고있는사람은 A,B,C,D가 있고
각각 얼마만큼 지분을 가지고있는지도 확인이됩니다.
그렇다면 이런 예시를 들어봅시다
만약 TheSun코인에서 중요한 의사결정이 필요할때 어떤 알파벳이 가장 영향력이 있을까요?
A입니다 지분율이 많기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는 타당성이 존재를합니다
TheSun코인이 망해도 / 성공해도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것도 지분을 많이 가지고있는 A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시슽템을 이용을한게 Pos방식 즉 "작업증명" 입니다
지분을 많이 가진 사람이 블록을 생성하고 추가할 권리가 있다.
비교를해봅시다
Pow 방식은 내가 수많은 전력이 들어가는 컴퓨팅파워를 돌려서 채굴에 성공하면 보상을 받습니다
Pos 방식은 지분이 많으면 보상을 얻습니다
근데 여기서 이러한 의문점을 가지고있어야합니다
그러면 단순히 지분이 많은사람이 보상을받으면 너무 불공정한거 아닌가?
여기서 존재한게 시간 이라는 개념도 등장을합니다
Pos방식은 코인을 얼마나 오래 들고있냐? 에 따라서 코인을 지급합니다
즉 정리하자면 Pos방식은 내가 가지고있는 지분 x 코인을 들고있던 시간 을 통해 보상을 해주는 시스템입니다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문제란(Oracle Problem)? (1) | 2023.09.13 |
---|---|
포크란? (0) | 2023.09.12 |
합의 알고리즘 - Pow는 어떻게 동작하는걸까? (2) | 2023.09.09 |
합의알고리즘 - Pow (3) | 2023.09.09 |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 (3) | 2023.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