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

포크란?

SunCoding 2023. 9. 12. 11:31

블록체인에서 포크란 무슨 뜻일까?

 

우리가 식당에서 사용하는 포크를 의미합니다

 

즉 쭉 가다가 포크가 세 방향으로 나뉘듯 블록체인도 그렇게 나누어진다 나는 걸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채굴자 A 와 채굴자 B가 채굴을 하고 있습니다 

 

근데 아이러니하게 채굴자A와 채굴자 B가 동시에 채굴에 성공한다면 

 

누구한테 보상을 주어야 할까요?? 🤔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룰이 생겼습니다

 

 

1. Heaviest Chain Rule

각 블록에는 " 난이도 "라는 값이 있습니다 

쉽게 말해 이 난이도는 블록을 생성할 때 (즉 채굴에 성공했을 때 ) 이 블록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숫자입니다.

한마디로 블록을 생성하기위한 난이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난도가 높을수록 채굴하기 어려움

 

예를 들어

 

채굴자 A 체인의 난이도 합은 13이고 

 

채굴자 B 체인의 난이도 합은 11입니다

 

그러면 채굴자 A의 난도가 높으니 채굴자 A의 블록이 선택됩니다.

 

 

 

2. Longest Chain Rule

 

쉽게 말해 가장 긴 체인을 선택하는 뜻입니다

블록체인은 블록 높이라는 게 있습니다

 

 

2019년 07월 31일 13시 10분 기준 

  • 비트코인 : 587,855
  • 이더리움 : 8,256,227
  • 비트코인 캐시 : 593,688

이 숫자들은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바로 블록이 생성된 개수를 의미합니다

 

비트코인의 블록 생성 시간은 대략 10분

즉, 새로운 블록이 비트코인 체인에 대략 10분마다 1블록 씩 추가된다는 것입니다.

이더리움의 블록 생성 시간은 대략 15초, 즉 15초마다 1블록 씩 추가됩니다.

 

예를 들어

 

채굴자 A가 가지고 있는 체인의 길이는 1000

채굴자 B가 가지고 있는 체인의 길이는 600이라고 하면

 

체인의 길이가 긴 채굴자 A의 블록을 선택하는 뜻입니다.

 

하지만 우린 이런 문제점에 봉착했습니다

 

만약 채굴자A의 체인길이와 채굴자 B의 체인길이가 "똑같다면?" 어떻게 될까요

 

우린 이럴때 Fork(포크) 형식에 빠졌다라고 표현을 합니다

 

Fork 형식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1. 하드포크 

 

둘다 길이가 똑같다고 했죠? 

 

이럴 때 그냥 하드 하게 너랑 나? 합치는 거 모르겠고 그냥 갈길 가자 해서 포크 모양에서  끝단이 삼지창처럼 분리된 게 하드포크입니다

 

 

1. 소프트포크 

 

서로 마음이 맞아서 기존체인에 서로 융화되는게 소프트 포크입니다

 

 

이상 

1. Longest Chain Rule

2. Heaviest Chain rule

3. 포크의 등장배경

4. 소프트 포크

5. 하드포크

를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